본문 바로가기

투자

코스트코 기업 분석: 투자 아이디어와 주가 전망

728x90

코스트코 (NASDAQ: COST) 기업 분석: 투자 아이디어와 주가 전망

코스트코(NASDAQ: COST)

 

 기업 개요 및 연혁

 

■ 코스트코 기업 개요와 연혁

코스트코(Costco Wholesale Corporation)는 세계적인 회원제 창고형 할인 매장으로, 1976년 샌디에이고에서 프라이스 클럽(Price Club)으로 시작되었습니다. 1983년, 시애틀에서 첫 코스트코 매장이 문을 열었고, 1993년 프라이스 클럽과 합병하면서 현재의 코스트코가 탄생했습니다. 현재 코스트코는 전 세계 800여 개 매장을 운영하며, 연간 매출액은 2000억 달러를 넘어서고 있습니다.

 

 

 제품 및 비즈니스 모델

 

코스트코의 제품과 비즈니스 모델

코스트코의 비즈니스 모델은 대량 구매를 통해 원가를 절감하고, 이를 회원들에게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회원제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뉘는데, 일반 회원과 이그제큐티브 회원이 있습니다. 이그제큐티브 회원은 더 많은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유통에 있어 다양한 제품군을 제공하는데, 식품, 가전제품, 의류, 가구, 스포츠 용품, 주류, 약품 등 매우 광범위한 범위를 다룹니다. 주요 제품군은 다음과 같습니다.

  • 식품 및 음료: 신선 식품, 냉동 식품, 음료수, 유제품 등
  • 가전제품: TV, 컴퓨터, 가전기기 등
  • 의류 및 패션: 남성복, 여성복, 아동복, 신발 등
  • 가구 및 인테리어: 소파, 침대, 가전, 주방 용품 등
  • 스포츠 및 레저 용품: 자전거, 운동 기구, 캠핑 장비 등
  • 주류 및 건강: 와인, 맥주, 비타민, 약품 등

 

 코스트코 실적 분석(Q4FY23)

 

■양호한 실적 발표를 통한 주가 견인

코스트코 Q4FY23 실적 분석표

  • Net Sales (순매출): 코스트코의 순매출은 $77.4B로 전년 대비 9% 증가했습니다. 
  • Membership Fee (회원비): $1.5B, 전년 대비 9% 증가. 회원제는 코스트코의 핵심 비즈니스 모델로, 지속적인 회원 증가와 높은 갱신율이 안정적인 수익을 보장합니다.
  • E-commerce (전자상거래): 0.8% 감소. 팬데믹 이후 온라인 쇼핑의 성장이 주춤했지만, 여전히 중요한 매출 채널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 Revenue (수익): 총 수익은 $78.9B로 전년 대비 9% 증가했습니다. 이는 전반적인 판매 증가와 회원 수 증가 덕분입니다.
  • Gross Profit (매출총이익): 매출총이익은 $9.7B로 매출총이익률은 12.9%입니다. 이는 전년 대비 10% 증가한 수치로, 상품 판매와 서비스 제공에서 발생한 수익입니다.
  • Merchandise Costs (상품 비용): 총 상품 비용은 $69.2B로 매출의 상당 부분을 차지합니다. 이는 코스트코의 대량 구매와 저비용 판매 전략에 따른 것입니다. 저마진 구조를 통해 회원들에게 저렴한 가격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 SG&A Expenses (판매 및 관리비): 판매 및 관리비는 $6.9B로 전년 대비 약간 감소했습니다. 이는 운영 효율성을 높이고 비용 절감을 통해 관리비를 낮추기 위한 코스트코의 지속적인 노력의 결과입니다.
  • Operating Profit (영업이익): 영업이익은 $2.8B로 영업이익률은 3.5%입니다. 이는 전년 대비 2% 증가한 수치로, 매출 증가와 비용 절감의 효과가 반영되었습니다.

 

 경쟁기업 분석

 

■ 코스트코의 주요 경쟁기업 분석

다음 표는 코스트코와 주요 경쟁기업 5개의 2023년 기준 매출액, 영업이익, 시가총액, P/E 비율을 정리한 것입니다.

매출액, 영업이익, 시가총액을 기준으로 미국 3위 소비주 섹터 기업으로 자리잡고 있지만, 

상위 1,2위인 월마트와 아마존은 온라인 마켓 진출 기업인 점을 감안하면 코스트코의 점유율은 큰 편이라 생각합니다.

미국 유통기업 비교 분석표

 

 

 코스트코 재무분석

 

■ 손익계산서

아래 손익계산서 표와 같이 꾸준한 매출과 영업이익 유지를 통해 코스트코 주식의 매력을 느낄 수 있습니다.

성장주처럼 매출 성장에 대한 기대는 없지만,  매우 안정적인 사업 유지가 코스트코 주식의 가장 큰 장점이라 생각합니다.

 

코스트코 손익계산서

 

■ 매출/이익 성장 그래프

매출/이익 성장 그래프

 

■ 재무제표

코스트코와 같은 필수소비재, 유통기업 주식은 부채비율과 재고자산 관리가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아래 연환산 기준 코스트코의 재무제표와 같이 꾸준한 재고비율 관리와 부채비율 관리를 통해 안정적인 경영 관리를 시행하고 있으며, 매년 이익잉여금 축척을 통해 주주 환원을 적극 실천하고 있습니다.

코스트코 제무제표

 

■ 부채/유동자산 비율 그래프

부채/유동비율 그래프

 

■ 현금흐름표

가장 주목할 만한 코스트코 주식의 매력은 역시 잉여현금과 배당입니다.

영업활동을 통한 현금 확보, 꾸준한 투자와 안정적인 재무 관리로 매년 현금흐름을 창출하고 있으며,

발생한 현금을 주주들에게 환원하기 위해 꾸준히 배당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코스트코 현금흐름표

 

■ 배당금 및 배당수익률 그래프

배당금 및 배당수익률 그래프

 

 

 코스트코 주식 특징

 

코스트코 주식의 장점

코스트코는 주주 환원 정책, 자사주 매입, 경영 방침에서 많은 강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 주주 환원 정책: 코스트코는 꾸준히 배당금을 지급하며, 2023년에는 주당 $4.00의 배당금을 지급했습니다. 이는 주주들에게 안정적인 수익을 제공합니다.
  • 자사주 매입: 코스트코는 정기적으로 자사주 매입 프로그램을 통해 주가를 안정시키고 있습니다. 이는 주주가치를 제고하는 중요한 전략입니다.
  • 경영 방침: 코스트코의 경영 방침은 '고품질, 저가격'을 유지하는 것입니다. 이는 충성도 높은 고객층을 유지하고, 안정적인 매출을 창출하는 데 기여합니다.

 

 코스트코 사업 전망

 

■ 긍정적인 전망

전문 애널리스트와 신뢰할 만한 뉴스 소스에 따르면, 코스트코는 다음과 같은 긍정적인 전망을 가지고 있습니다:

  • 회원제 기반의 안정적인 수익: 코스트코의 회원제는 안정적인 수익을 보장합니다. 회원 갱신율이 90%에 육박하며, 이는 꾸준한 매출 증가로 이어집니다.
  • 글로벌 확장: 코스트코는 미국 외에도 캐나다, 멕시코, 일본, 한국 등 여러 국가에 진출해 있으며, 계속해서 글로벌 확장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이는 장기적인 성장 동력입니다.
  • 전자상거래 성장: 코스트코의 온라인 판매는 꾸준히 성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팬데믹 이후 온라인 쇼핑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면서, 코스트코의 전자상거래 부문도 크게 성장했습니다.

■ 부정적인 전망

그러나 코스트코에는 몇 가지 부정적인 전망도 존재합니다:

  • 경쟁 심화: 월마트, 타겟, 아마존 등과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습니다. 특히, 아마존과 같은 온라인 유통업체와의 경쟁에서 어떻게 차별화할지가 중요합니다.
  • 운영 비용 증가: 인건비 상승, 물류 비용 증가 등이 코스트코의 영업 이익률에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
  •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경제 불확실성은 소비자 지출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는 코스트코의 매출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코스트코 투자 아이디어 및 성장 분석

 

■ 코스트코 주가 현황

코스트코는 미래 성장을 위해 여러 투자 프로젝트와 방향성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아래 코스트코 연중 수익률은 +24% 상승, 연간 +66%라는 놀라운 수익률로 주가는 사상 최고치를 갱신하고 있습니다.

 

(왼)코스트코 연중 수익률 / (오)코스트코 연간 수익률

 

 

■ 코스트코 성장 전망

  • 신규 매장 오픈: 코스트코는 미국 내뿐만 아니라 글로벌 시장에서도 신규 매장을 계속해서 오픈할 계획입니다. 2024년에는 중국과 인도 등 새로운 시장에 진출할 예정입니다.
  • 지속 가능성 투자: 코스트코는 지속 가능성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재생 가능 에너지 사용, 친환경 제품 확대, 공급망의 지속 가능성 강화 등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 기술 투자: 코스트코는 최신 기술을 도입해 운영 효율성을 높이고 고객 경험을 개선하고 있습니다. 자동화 창고 시스템, 인공지능 기반 재고 관리 시스템 등이 대표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