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4월 17일 ] 미국 증시 마감 시황
" 금값 연일 최고치 경신, 기술주 급락 "
주요 지수 마감 현황
📈 주요 지수 마감 현황
미국 증시는 4월 16일(현지시간) 대규모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이는 미·중 무역 갈등 심화와 연준의 금리 동결 기조에 따른 경기 둔화 우려가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습니다.
- S&P 500: 5,275.70pt (-2.2%)
- 나스닥 종합지수: 16,307.2pt (-3.07%)
-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 39,669.5pt (-1.7%)
- 러셀 2000: 184.97pt (-0.96%)
특히 나스닥은 기술주 중심의 하락세로 인해 가장 큰 폭의 하락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반도체 및 AI 관련 기업들이 미·중 무역 갈등의 영향과 미연준의 금리 동결로 인해 직격탄을 맞았기 때문입니다.
주요 원자재 가격 동향
🛢️ 주요 원자재 가격 동향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안전자산 선호 현상이 두드러졌습니다.
- WTI 유가: $62.66/배럴 (전일 대비 +2.07% 상승)
- 브렌트유: $65.98/배럴 (전일 대비 +2.03% 상승)
- 천연가스: $3.27/MMBtu (전일 대비 -1.77% 하락)
- 금: $3,357.4/온스 (전일 대비 +3.61$ 상승 - 사상 최고가)
- 구리: $4.688/파운드 (전일 대비 +1.33% 상승)
금 가격은 미·중 무역 갈등 심화와 글로벌 경기 둔화 우려로 인해 안전자산으로서의 수요가 급증하면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구리 가격도 공급 우려로 인해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미국채 금리 현황
💵 미국채 금리 현황
연준의 금리 동결 기조와 경기 둔화 우려로 인해 미국채 금리는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 3개월물 금리: 4.317%
- 2년물 금리: 3.776%
- 10년물 금리: 4.281%
주요 경제 지표 및 연준 발언
📊 주요 경제 지표 및 연준 발언
연준의 제롬 파월 의장은 시카고 경제클럽 연설에서 현재의 금리 수준을 유지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관세는 일시적인 영향을 미칠 예정이나, 현재 인플레이션 압력이 지속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경기 둔화 우려가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이는 시장의 금리 인하 기대와 반대되는 분위기로 주요 증시 지수를 낮추는 신호로 해석되었습니다.
빅테크 M7 종목 등락률 및 관련 뉴스
🧠 빅테크 M7 종목 등락률 및 관련 뉴스
미국의 주요 기술주인 'Magnificent 7'은 미·중 무역 갈등의 영향으로 대부분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 애플 (AAPL): $194.27 (-3.89%)
- 마이크로소프트 (MSFT): $371.61 (-3.66%)
- 아마존 (AMZN): $174.33 (-2.93%)
- 알파벳 (GOOGL): $155.5 (-2%)
- 메타 (META): $502.31 (-3.68%)
- 엔비디아 (NVDA): $104.49 (-6.87%)
- 테슬라 (TSLA): $241.55 (-4.94%)
특히 엔비디아는 미국 정부의 중국 AI 칩 수출 제한 조치로 인해 큰 폭의 하락을 기록했습니다.
주요 경제 뉴스 요약
📰 주요 경제 뉴스 요약
- 미·중 무역 갈등 심화: 미국은 중국에 대한 추가 관세를 부과하고, 중국은 이에 대한 보복 조치를 발표했습니다. 이는 글로벌 공급망에 대한 우려를 증폭시키고 있습니다.
- 연준의 금리 동결 시사: 연준은 현재의 금리 수준을 유지하겠다고 밝혔으며, 이는 시장의 금리 인하 기대를 낮추는 결과를 초래했습니다.
- 금 가격 사상 최고치 경신: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증가로 인해 금 가격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결론 및 전망
✅ 결론 및 전망
2025년 4월 16일 미국 증시는 미·중 무역 갈등 심화와 연준의 금리 동결 기조로 인해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특히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이 큰 폭의 하락을 기록했으며, 금 가격은 안전자산 선호 현상으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앞으로도 미·중 무역 갈등과 연준의 통화정책 방향에 따라 시장의 변동성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