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12일 미국 증시 마감 시황] 미중 무역 갈등 속 반등…
금 가격 사상 최고치 경신
2025년 4월 11일(현지 시간), 미국 증시는 미중 무역 갈등의 지속과 주요 경제 지표 발표 속에서 주요 지수들이 상승 마감했습니다.
특히 금 가격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며 안전자산 선호 현상이 두드러졌습니다.
주요 지수 마감 현황
📈 주요 지수 마감 현황
- S&P 500 지수: 5,363.36 (+1.8%)
-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 40,212.71 (+1.56%)
- 나스닥 종합지수: 16,724.46 (+2.06%)
- 러셀 2000 지수: 1,84.36 (+1.46%)
전일 급락했던 증시는 이날 반등하며 주요 지수들이 상승 마감했습니다.
특히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가 2% 이상 상승하며 시장 반등을 주도했습니다.
주요 원자재 가격 동향
💹 주요 원자재 가격 동향
- 금 (Gold): $3,254 이상으로 사상 최고치 경신
- WTI 유가: $61.48 (전일 대비 +2.35%)
- 브렌트유: $64.76 (전일 대비 +0%)
- 천연가스: $3.541 (전일 대비 -0.45%)
- 구리: $4.553 (전일 대비 +4.98%)
금 가격은 미중 무역 갈등과 경제 불확실성 속에서 안전자산 선호 현상이 강화되며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유가는 중동 지역의 지정학적 긴장과 수요 증가 기대감으로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미국 국채 금리 현황
💰 미국 국채 금리 현황
- 3개월물 금리: 4.336% (전일대비 0.007%p 상승)
- 2년물 금리: 3.975% (전일대비 0.128%p 상승)
- 10년물 금리: 4.497% (전일대비 0.105%p 상승)
장기 금리는 상승하며 수익률 곡선의 평탄화 현상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이는 시장의 경기 침체 우려와 연준의 금리 정책에 대한 불확실성을 반영합니다.
주요 경제 지표 발표
📊 주요 경제 지표 발표
- 소비자물가지수(CPI, 3월): 전년 대비 2.4% 상승 (예상치 2.5% 하회)
- 생산자물가지수(PPI, 3월): 전월 대비 -0.4% 하락 (예상치 0.2% 상승)
소비자물가는 예상치를 소폭 하회하며 인플레이션 압력이 완화되고 있음을 시사했습니다.
생산자물가는 예상과 달리 하락하며 기업의 비용 부담이 줄어들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빅테크 M7 종목 등락률 및 관련 뉴스
🏢 빅테크 M7 종목 등락률 및 관련 뉴스
- 애플(AAPL): $198.15 (+4.06%)
- 마이크로소프트(MSFT): $388.45 (+1.86%)
- 알파벳(GOOGL): $159.4 (+2.59%)
- 아마존(AMZN): $184.87 (+2.01%)
- 메타(META): $543.57 (-0.50%)
- 테슬라(TSLA): $252.31 (-0.04%)
- 엔비디아(NVDA): $110.93 (+3.12%)
빅테크 종목들은 전반적으로 상승세를 보이며 시장 반등을 견인했습니다.
특히 애플과 엔비디아는 각각 4%와 3% 이상의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주요 경제 뉴스 요약
📰 주요 경제 뉴스 요약
- 미중 무역 갈등 심화: 미국이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145%로 인상하며 무역 갈등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시장의 불확실성이 증대되고 있습니다.
- 금 가격 사상 최고치 경신: 안전자산 선호 현상이 강화되며 금 가격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 연준의 금리 정책 주목: 인플레이션 압력 완화와 경제 지표 둔화로 인해 연준의 금리 정책에 대한 시장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 중국의 보복관세 조치: 중국은 금요일 미국산 제품 관세를 84%에서 125%로 인상하며 보복했지만, 백악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이 미국과의 합의를 모색할 것”이라는 낙관론을 보이고 있다고 언급해 시장에 추가 상승 모멘텀을 제공했습니다.
- 중국 반도체 관세 부과: 새로운 관세를 발표한 후 미국 제조 공장을 가진 반도체 제조업체의 주가가 하락했으나, 미국 내 생산이 아닌 설계만 미국에서 하고 제조는 해외 파운드리를 이용하는 업체들은 관세 대상에서 제외됨에 따라 엔비디아, AMD 등의 주가는 상승했습니다.
- 물가 상승세 하락: 경제 지표에서는 물가 상승세가 식어가고 있음을 보여주는 증거가 추가로 나왔습니다. 생산자물가지수(PPI)는 지난달 0.4% 하락했습니다.
- 기대 인플레이션 전망치 상승: 그러나 또 다른 데이터에서는 소비자 심리가 한층 더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년 기대 인플레이션 전망치는 6.7%로 1981년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주요 인사 증시 관련 발언
🔔주요 인사 증시 관련 발언
보스턴 연은의 콜린스 총재는 파이낸셜 타임스와의 인터뷰
“상황이 무질서해진다면, 중앙은행은 금융시장을 안정화하기 위해 기꺼이 조치를 취할 준비가 되어 있다”
"다만, 아직까지는 전반적으로 유동성에 대한 우려 없이 시장이 제대로 기능하고 있다"
오션 파크의 제임스 세인트 오빈은
'연준 풋'이 작동하기 시작했다. 이것은 당분간 불안감을 다소 완화해 줄 것이다.
파이퍼 샌들러의 마이클 칸트로위츠는
"약세장 속에서 나타나는 단기 반등(relief rallies)은 일반적으로 급격하게 일어난다"
“정책 관련 뉴스가 시장을 좌우할 것이다"
바클레이스의 아제이 라자댜크샤는
"미 국채 시장이 안정되고 정상적인 움직임을 보이기 전까지는 위험자산이 고전할 것이다"
결론 및 전망
✅ 결론 및 전망
4월 11일 미국 증시는 미중 무역 갈등의 지속과 주요 경제 지표 발표 속에서 주요 지수들이 상승 마감했습니다.
특히 금 가격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며 안전자산 선호 현상이 두드러졌습니다.
향후 시장은 무역 갈등의 전개와 연준의 금리 정책에 주목할 것으로 예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