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상거래 산업 동향
지난 2022년 미국 전자상거래 시장은 1조원을 넘어서고, 2021년 대비 8.2% 증가한 1조 781억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거래 품목 순위는 1위 의류, 신발, 안경, 액세서리로 2,143억을 기록하였으며, 2위는 가전/전기제이 1,95억, 3위는 식품 979억 달러를 기록하였습니다.
팬더믹으로 인해 오프라인 매장 방문이 줄고, 온라인 시장이 활성화되면서 매년 꾸준히 온라인 시장이 늘어나고 있는 상황입니다.
아래 그래프와 같이 매년 꾸준한 전자상거래 시장의 성장과 판매액으로 온라인 시장의 성장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미국 SNS 온라인 시장 동향
미국은 SNS를 활용한 소비 시장이 세계 1위 국가로 많은 소비자들이 SNS를 활용하여 제품을 구매하고 있습니다.
이 부분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SNS 인플루언서 마케팅' 입니다.
현재 미국 SNS 이용자들은 일반 광고보다 '마이크로 인플루언서 마케팅' 의 신뢰가 더 높다는 결과(92%)를 나타냈습니다.
즉, 단순 광고로 물건을 사기보다 인플루언서들의 추천이나 글 하나로 구매를 하는 경우가 더 많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많은 소비자들이 인플루언서 광고를 통해 자사 홈페이지를 직접 방문하고, D2C 방식으로 직접 구매하면서
제조업체들도 직접 자사 홈페이지를 제작하고, 판매해야하는 구조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쇼피파이를 더욱 찾게 될 것이고, 이는 곧 매출액 상승과 더불어 주가 상승까지 견인할 것이라 전망됩니다.
왜 '쇼피파이' 인가?
먼저 쇼피파이가 투자 대상으로 선정된 이유를 설명드리겠습니다.
쇼피파이는 나스닥에 상장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캐나다 국적의 기업이며, 캐나타 증권거래소 기준 시총 3위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쇼피파이는 국내 YES24 와 같은 홈페이지 제작을 기반으로한 사업입니다.
'쇼피파이'의 사업은 자사 플랫폼을 활용한 온라인 홈페이지 제작 및 솔루션 서비스가 주 아이템이며,
해외 대형 전자상거래 플랫폼 '아마존' 과는 시장이 전혀 다른 전자상거래 기업입니다.
하지만, 자체 플랫폼이 없는 중소형 제조사들은 아마존과 같은 인터넷 도소매 판매 사이트를 활용하여
자사 제품을 판매하고 있는데, 점차 자체 홈페이지를 통해 판매하는 구조가 확대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쇼피파이는 이런 중소업체들의 온라인 홈페이지를 개설해주고, 판매부터 광고·마케팅과 피드백까지 관리해주며
자체적인 유통 시스템을 구축하도록 지원해주고 있습니다.
쇼피파이 과거 실적
쇼피파이의 매출액은 연간 꾸준한 상을 보이며 성장하고 있습니다.
영업이익은 2022년에 들어서면서 마이너스(-)를 기록하며 주가가 2021년 $176 고점 대비 2022년 $23을 저점을 찍고,
현재 $62으로 저점대비 163% 상승한 쇼피파이 주가는 지금 PSR 15배, PER -31배, 주당 순자산 $6.6으로 거래 되고 있습니다.
쇼피파이 23.2Q 실적
오늘 새벽 쇼피파이 2분기 실적이 공개되며 쇼피파이의 실적이 개선과 추후 실적 개선이 눈으로 확인되어 포스팅을 하게 되었습니다.
-구독 솔루션 13% 증가, 상품 서비스 구독은 32% 증가
-전년 동월대비 매출액과 총이익은 모두 28%, 20% 상승하며 호실적을 기록
-영업/투자 및 물류 사업의 비용 등으로 사용된 금액을 감안하면 마이너스(-) 실적
-현금 전환 채권은 $5,909M 으로 동일 분기 영업비용(지출)을 충당 가능한 상황
-비유동채권 축소 (현금 비전환 채권을 줄여 재무건전성 확보)
-단기 부채 $880M는 현금전환 채권이나 보유 현으로 충분히 감당 가능한 상황
-우선주/보통주 발행에 따른 자본잉여금 발생
-누적결손금 $522 → $1,765M 으로 238% 증가
-자기자본비율 77% (양호)
-자본잠식률 17% (보통)
-단기 순손실액이 363% 줄어
-전년 동월대비 현금흐름은 줄어들었으나, 주당 순자 $6.6 으로 나쁘지 않는 상황
-물류사업 판매로 $1,340M 현금 확보
-투자로 인한 자기자본순손실 증가
-영업활동에 따른 순현금($198M) 확보
쇼피파이 전망
제 개인적인 견해로 쇼피파이의 실적은 긍정적으로 나왔다고 생각합니다.
[긍정적 전망]
1) 물류 풀필먼트 사업을 매각을 통한 현금 확보
▶아마존처럼 자체 물류사업을 구축하려고 풀필먼트 사업을 진행했으나, 지속적인 사업 악화로 매각 처
2) 서비스 구독자 증가
3) 자본잉여금 증가
4) 인원 감축 등 구조조정 시행 (20% 인원 감축)